‘동의보감’ 속 민간요법, 현대의학과 어떻게 다를까?
1. 동의보감의 구성과 철학: 인체는 소우주다[키워드: 동의보감 철학, 음양오행, 전일적 의학]『동의보감』은 1613년, 조선의 명의 허준이 편찬한 의학서로 단순한 치료 지침을 넘어서 인간 존재와 질병에 대한 철학적 사유를 담고 있다. 이 책은 인체를 우주와 동일한 원리로 구성된 ‘소우주’로 간주하며, 건강은 곧 자연의 순리에 따르는 조화로운 삶에서 비롯된다고 본다. 음양오행(陰陽五行) 이론은 이 책의 근간을 이루는 개념으로, 모든 질병과 증상을 오장육부의 균형, 계절의 변화, 정서 상태와의 관계 속에서 이해한다.이러한 접근은 현대의학의 해부학적 사고와는 뚜렷한 차이를 보인다. 현대의학이 병의 원인을 세포 수준에서 분석하고, 장기별로 분리하여 치료하는 환원주의적 시각을 갖고 있다면, 동의보감은 질병을 인..